Ⅰ. 서 론
1. 직업훈련기관 유형
직업훈련기관의 유형은 설립주체에 따라 공공직업훈련기관과 민간직업훈련기관으로 구분되며, 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볼 때, 민간 직업훈련기관은 사업내 직업훈련기관, 인정직업훈련기관, 대학교 및 전문대학, 그리고 학원을 들 수 있다.
워크넷(www.work.go.kr)에서 제공되는 훈련기관에 대한 구분은 보다 세분화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다.
- 학교법인 기능대학교
- 한국산업인력공단 직업전문학교
- 상공회의소 훈련시설
- 장애인공단 훈련시설
- 근로복지공단 훈련시설
- 지방자치단체 훈련시설
- 일하는 여성의 집
- 훈련법인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 사업주(단체)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 대학교․전문대학(지정)
- 대학교․전문대학(미지정)
- 사업주(단체) 미지정기관
- 기타 미지정기관
- 사설학원
- 교육부 훈련기관
- 정보통신부 훈련기관
- 고용촉진 훈련기관
2. 공공 직업훈련기관
공공훈련기관 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 장애인고용촉진공단,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운영하는 직업전문학교 및 직업훈련원과 기능대학법에 의한 기능대학 등이 있다.
공공직업훈련기관은 2000년 현재 직업전문학교 42개소, 대한상공회의소 직업훈련원 8개소,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2개소, 정부기관 36개소, 지방자치단체 7개소 등 95개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산업별 공통 수요직종(금속, 기계가공, 정밀기계 등), 수출전략 직종(귀금속 가공, 염색, 제직 등), 첨단 및 신수요 직종(전산응용기계 등)과 기능장 양성훈련에 중점을 두어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정부기관은 소년원생 및 재소자 자활능력 배양을 위한 훈련(조적, 목공 등)에,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주민의 선호 직종, 취업용이 직종으로 영농직종과 주민소득 향상 및 농촌필요 직종의 훈련에 중점을 두어 운영되고 있다.
공공직업훈련기관에 개설된 훈련직종의 세부적인 내용은 매우 다양한 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직업전문학교는 생산기반기술 직종의 CNC 선반, 머시닝센터, 생산가공, 전기 및 특수용접, 전기기기 및 전기공사, 전력전자, 전자기기, 공업 및 건축배관, 공업전자, 전자기기 등의 훈련과정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직업전문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훈련과정은 기계 및 장비분야가 187개 중 103개(55.1%)로 가장 많다. 그리고 전기분야 30개(16.0%), 전자분야 19개(10.2%), 산업응용 14개(7.4%)의 순서로 분포
되어 있다.
Ⅰ. 서 론
1. 직업훈련기관 유형
2. 공공 직업훈련기관
Ⅱ. 본 론
1. 한국직업전문학교(Hanguk Technical College)
2. 학교소개
3. 조직도
4. 연혁
5. 과정안내
6. 졸업자 취업현황
7. 약도
Ⅲ. 결 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