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28일 금요일

16세기의 l`humanisme에 대해 논하라.

Ⅱ. 본론
1. 휴머니즘
15∼16세기의 유럽에서는 고대의 문예를 부흥시키려는 운동이 일어나, 중세 이래의 신학 중심 학문체계에 반기를 들고 새로운 시대의 학자들 간에 `보다 인간다운 학예를!` 이라는 외침이 일어났다. 즉 고대의 학예를 부활시킴으로써 교회적 권위 아래 질식 되어가는 자연스런 인간성을 회복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그리스 ,로마 고전이 `보다 인간답게 만드는 일` 을 의미하는 후마니오라(humaniora)라는 말로 불리고, 그리스 로마 고전을 연구함으로써 인간다움을 높이고 새 시대의 이상적 인간상을 실현하려는 새로운 교육이념이 대두되었다. 그래서 이 `보다 인간다운` 을 뜻하는 라틴어 후마니오르(Humanior:인간적이라는 뜻인 humanus의 비교급)에서 휴머니즘이라는 말이 생겼다. 르네상스의 인문주의라는 말도 같은 말이다. 예컨대 페트라르카는 젊었을 때부터 베르길리우스와 호라티우스 등의 고사본을 열심히 수집하여 고대인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완성의 이상상을 찾아내려고 하였다. 이러한 휴머니즘의 정신은 르네상스의 운동이 확대되면서 이탈리아로부터 알프스를 넘어 유럽 전역에 파급, 네덜란드의 에라스무스, 프랑스의 몽테뉴 등에 의해 새로운 인간성의 이상 이 확립되었다. 이것은 있는 그대로의 인간, 자연스런 인간성을 존중하고, 이러한 인간성에 입각하여 지혜를 탐구하려는 것이었다.
2. 휴머니즘의 전제
휴머니즘을 식민지 희랍인들에게서 발단된 과학적 전통의 반대 사상이라고 여김은 정당하지 못하다. 오히려 그것은 식민지 희랍인들이 우주에다 기울인 것과 같은 냉철하고 선입견 없는 탐구를 인간의 문제나 열망에다 경주한 경향을 말한다.
그것이 휴머니즘이라고 불리는 까닭은 인간성을 멸시하고 어떤 비인간적 규범을 세워서 사람을 억누르는 신학에 반대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명제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1) 인간의 최고선은 그의 천연적인 잠재력에 실현에 있으며,
2) 그 실현을 촉진하는 오직 하나의 건전한 방법은 욕정과 의지를 억제하고 지도할 인간 본래의 이성의 힘을 사용하는 것이다.
더 명확히 말하면 주관주의와 권위주의의 중간인 것이다.
주관주의와 같다고 할 수 있는 점은, 그것이 인간을 그 자신의 고유한 도덕적 목적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서 다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주관주의와 같지 않은 점은 인간은 객관적으로 하나의 천성 즉 이상적 잠재력, 욕망이 인간을 휘몰아 가고 혹은 그로 하여금 그의 전체적 인격의 올바른 요구를 무시하게 만든다 할지라도 진정한 도덕적 의의 때문에 마땅히 존중되어야 할 천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사실이다.

16세기의 l`humanisme에 대해 논하라.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휴머니즘
2. 휴머니즘의 전제
3. 휴머니즘의 실천적 의미
4. 휴머니즘 문화
(1) 자유
(2) 자연주의
(3) 역사적 관심
(4) 종교
(5) 과학
5. 휴머니즘의 시대별 발전
Ⅲ. 결론
<참고문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