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똘레랑스의 기원과 내용
1. 기원
처음에 똘레랑스가 최근에 생겨난 사상이라고 생각한 것과는 달리, 똘레랑스 사상은 16세기 초 유럽에서 신구교도 사이에 처절하게 벌어졌던 화형과 학살 등의 앵똘레랑스 행위가 있은 뒤에 그에 대한 반성의 산물로 발전하게 된 것이 똘레랑스 사상이라고 한다. 역사가 꽤 깊은 사상이었다. 유럽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개인주의 사회이다. 우리나라에서 개인주의라 하면 이기주의와 같이 인식되어 매우 부정적이다. 우리 사회에서는 남을 이해하지 않고 나만의 자유를 위해 행동하고 생각하는 것을 흔히 개인주의라 생각하며 특히, 기성세대들은 요즘의 젊은이들을 가리켜 개인주의가 팽배 하다고 하며 혀를 내두른다.하지만 서양의 사람들을 보면 그렇지 않다. 개인주의라고 하지만 남에게 절대 피해를 주는 행동은 하지 않는다. 남의 사상이나 종교를 배척하거나 인정하지 않으려는 모습은 찾아보기가 힘든 것 같다. 다양성을 인정하는 속에 개인주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 가능한 이유가 바로 똘레랑스 사상 때문이다. 똘레랑스 사상을 빼면 이를 설명하기 어렵다고 한다. 생각해 보니 서양에서 개인주의가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어떠한 마찰이나 충돌이 적은 것은 이러한 똘레랑스 사상이 깔려 있기 때문에 가능 한 것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오랫동안 유럽에서 전해온 사상이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에도 이 사상이 적용 될 수 있고, 또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서문에서 작자가 말한 것 같이 우리나라는 분단과 전쟁, 처절한 죽임과 학살, 신구교도의 갈등 등 엄청난 앵똘레랑스 행위가 있었다.
2. 내용
프랑스 사회는 똘레랑스가 있는 사회입니다. 흔히 말하듯 한국 사회가 정(情)이 흐르는 사회라면 프랑스 사회는 똘레랑스가 흐르는 사회라고 말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당신이 정의 말뜻을 다른 나라 말로 옮기기 쉽지 않듯이, 프랑스 사회의 똘레랑스의 말뜻을 한마디의 우리말로 옮기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정`의 사회적 의미는 애매한 반면, 똘레랑스의 사회적 의미는 명확하답니다. 그 까닭은 우리의 `정`은 감정의 표현인 것에 비하여 똘레랑스는 이성의 소리이기 때문입니다.
똘레랑스란 첫째로, `다른 사람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의 자유 및 다른 사람의 정치적 · 종교적 의견의 자유에 대한 존중`을 뜻합니다. 이 뜻은 내가 임의로 규정하여 말한 것이 아닙니다. 프랑스말 사전이 밝힌 똘레랑스의 첫번째 뜻을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존중하시오. 그리하여 존중하게 하시오(respectez, et faites respecter).`
이렇게 적혀있는 팻말이 공원의 잔디밭에 서 있는 것을 당신은 자주 목격할 수 있었을 겁니다. 잔디밭에 들어가지 말라는 요구를 점잖게 표현한 것인데, 잔디밭을 존중하여 스스로 존중받으라는 말이지요. 똘레랑스는 바로 이 푯말과 똑같은 요구를 담고 있습니다. 즉, `(남을) 존중하시오. 그리하여 (남으로 하여금) 당신을 존중하게 하시오` 라는.
<목 차>
Ⅰ. 똘레랑스(관용정신)의 정의
Ⅱ. 똘레랑스의 기원과 내용
1. 기원
2. 내용
Ⅲ. 현재 프랑스에서 똘레랑스의 예
1. PACS
2. 게이퍼레이드
3. 똘레랑스에 관한 대표적인 예
Ⅳ. 똘레랑스를 적용하지 않은 예
1. 브리짓 바르도와 개고기 문화
2. 프랑스 해외영토 과들루프
<참고문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