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게임이론
1. 폰노이만과 게임이론
1944년 프린스턴대의 수학자 폰노이만은 동료이자 경제학자인 오스카 모르겐슈타인과 함께 <게임이론과 경제행위>라는 책을 출간했다. 포커를 즐겼던 폰노이만은 여기에서 게임이론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 포커게임은 상대를 기만하려는 허풍과 속임수의 세계다. 그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길 수 있는 수학적 방법을 찾으려 하였다. 노이만은 이 이론이 경제학에 대단히 쓸모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에 대한 학계의 반응은 처음에 무척 냉담했다. 책은 출판이후 5년 동안 4천부도 팔리지 않았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이 냉전체제에 돌입하자, 이 때 대륙간 핵전쟁에 관한 전략연구를 수행하였던 미 군부는 이 연구가 지닌 가치를 먼저 간파했다. 그곳이 바로 지금 미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 랜드연구소의 전신이었던 랜드회사다. 랜드는 폰노이만을 자문역으로 고용하여 게임이론을 발전시키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랜드에서 게임이론은 그 기초를 다졌고, 1994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존 내쉬를 비롯한 게임이론의 대가들 역시 이곳을 거쳐 갔다.
2. 게임이론의 개념
게임이론이란 경쟁 주체가 상대편의 대처행동을 고려하면서 자기의 이익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수단을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행동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이론이다. 이러한 게임이론은 수학의 어려운 분야 중 하나로서 1921년 보렐(Emile Borel)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고 독일의 수학자 폰노이만(John von Neumann)에 의해 게임이론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폰노이만은 게임이론을 통해 게임의 구조와 게임에 참여하는 사람의 성향을 수학적 표현으로 나타내었으며, 포커나 체스와 같은 게임뿐만 아니라 이후, 경제, 군사 분야 등 많은 분야에 적용되어지고 있다
3. 게임이론의 구성
게임이론의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경기자와 의사결정의 순서, 정보묘사, 행동과 전략, 결과와 보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Ⅰ. 게임이론
1. 폰노이만과 게임이론
2. 게임이론의 개념
3. 게임이론의 구성
4. 게임이론의 내용
Ⅱ. 죄수의 딜레마
1. 죄수의 딜레마 개념
2. 내쉬의 균형이론
3. 파레토의 최적
Ⅲ. 반복된 죄수의 딜레마 게임
Ⅳ. 죄수의 딜레마 현실의 적용과 비판점
1. 죄수의 딜레마 현실의 적용
2. 우리 사회 근본문제의 원인
<참고문헌>
댓글 없음:
댓글 쓰기